본문 바로가기
반응형

백준162

baekjoon - python - 13752 www.acmicpc.net/problem/13752 13752번: 히스토그램 히스토그램은 데이터를 시각적으로 표현한 것이다. 막대로 구성되며 각 막대의 길이는 데이터 양의 크기를 나타낸다. 일부 데이터가 주어지면 히스토그램을 생성하시오. www.acmicpc.net # @Author YoungMinKim # baekjoon N=int(input()) for _ in range(N): x=int(input()) print('='*x) 2020. 9. 14.
baekjoon - python - 13241 www.acmicpc.net/problem/13241 13241번: 최소공배수 정수 B에 0보다 큰 정수인 N을 곱해 정수 A를 만들 수 있다면, A는 B의 배수이다. 예: 10은 5의 배수이다 (5*2 = 10) 10은 10의 배수이다(10*1 = 10) 6은 1의 배수이다(1*6 = 6) 20은 1, 2, 4,5,10,20의 배수이다. 다� www.acmicpc.net # @Author YoungMinKim # baekjoon def gcd(a,b): if a 2020. 9. 14.
baekjoon - python - 11866 www.acmicpc.net/problem/11866 11866번: 요세푸스 문제 0 첫째 줄에 N과 K가 빈 칸을 사이에 두고 순서대로 주어진다. (1 ≤ K ≤ N ≤ 1,000) www.acmicpc.net # @Author YoungMinKim # baekjoon from collections import deque import sys a,b = map(int,sys.stdin.readline().split()) q = deque([i for i in range(1,a+1)]) result = [] while len(q) != 0: q.rotate(-b+1) result.append(q.popleft()) x= ', '.join(map(str,result)) print('') 2020. 9. 14.
baekjoon - python - 11942 www.acmicpc.net/problem/11942 11942번: 고려대는 사랑입니다 첫째 줄에 “고려대학교”를 출력하세요. www.acmicpc.net # @Author YoungMinKim # baekjoon print("고려대학교") 2020. 9. 13.
baekjoon - python - 11729 www.acmicpc.net/problem/11729 11729번: 하노이 탑 이동 순서 세 개의 장대가 있고 첫 번째 장대에는 반경이 서로 다른 n개의 원판이 쌓여 있다. 각 원판은 반경이 큰 순서대로 쌓여있다. 이제 수도승들이 다음 규칙에 따라 첫 번째 장대에서 세 번째 장대로 www.acmicpc.net # @Author YoungMinKim # baekjoon def hanoi_tower(n,fr,tmp,to): if n == 1: print(fr,to) else: hanoi_tower(n-1,fr,to,tmp) print(fr,to) hanoi_tower(n-1,tmp,fr,to) N=int(input()) print((2**N)-1) hanoi_tower(N,1,2,3) 2020. 9. 13.
baekjoon - python - 11720 www.acmicpc.net/problem/11720 11720번: 숫자의 합 첫째 줄에 숫자의 개수 N (1 ≤ N ≤ 100)이 주어진다. 둘째 줄에 숫자 N개가 공백없이 주어진다. www.acmicpc.net # @Author YoungMinKim # baekjoon N = int(input()) x=int(input()) ls=list(str(x)) sum=0 for i in ls: sum+=int(i) print(sum) 2020. 9. 13.
반응형